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2. 기타를 칠때 필요한 배경지식 (코드의 적용)
    통기타 강의 2021. 2. 15. 02:51

    앞 글을 간단히 요약하면

    코드라는 것은 '도레미파솔라시' 라는

    기본적인 음에서 쌓아올린 화음

    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저번 글과 이번 글은 좀

    재미없는 내용을 다룹니다.

    최대한 쉽고 간편하게 짚고 가겠습니다.

    보통 기타 연주를 생각하면 코드를 잡고

    반주를 하는 그림이 떠오르죠?

    기타라는 악기는 일단

    1. 코드를 잡아서

    2. 내가 치려는 노래에 맞게

    3. 알맞은 화음을 연주하며

    4. 반주를 만드는 악기

    라고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사실 기타는 멜로디, 화음, 박자를

    혼자 연주하는 것이 가능해서

    '작은 오케스트라'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당분간은 코드만

    다룰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이야기는

    미뤄두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제 실용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사실 앞글 전부와 지금까지 적은 내용은

    아주 단순한 기초 이론 설명이고,

    당분간 여러분이 기억해야 할 것은

    다음의 네 가지 뿐입니다.

    1. 기타의 줄은 6개고, 가장 두꺼운 줄을 '6번 줄'이라 한다.

    2. 6번 줄~ 1번줄까지 각각 '미,라,레,솔,시,미' 다.

    3. 기타는 한 칸에 한 키(반음)이다.

    4. 미→파, 시→도는 반음이다. (#이 없다)

    위 네 개만 알고 있어도 코드 연주에서 필요한

    많은 응용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외울건 많지만 효율적 학습을 위해서

    일단은 필수적인 저 4가지만 우선 암기해주세요. (꼭!)

    응용을 하기 전에 기초 암기는 필요합니다.

    아직 코드를 구체적으로 배워 볼 단계는 아니지만,

    설명을 위해 자료를 하나 보겠습니다.

    저희는 왼쪽 상단의 C 코드만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C 코드는 도, 미, 솔입니다. (모르셔도 됩니다.)

    기타는 가장 두꺼운 6번 줄부터 미라레솔시미

    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저런 그림을 볼 때는 항상 왼쪽이 6번줄입니다.

    (왼쪽부터 미라레솔시미)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6번 줄에는 X가 쳐져있고

    5번 줄은 세 번째 칸,

    4번 줄은 두 번째 칸,

    3번 줄은 칸을 잡지 않았고 O 그림이 있습니다.

    2번 줄은 첫 번째 칸,

    1번 줄은 또 칸을 잡지 않았고 O 그림이 있습니다.

    그림에 X가 쳐진 것은 치면 안된다는 뜻으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O는 치라는 뜻입니다.

    왜 안 치는지는 추후에 설명할 예정이니

    지금은 '치면 안되는구나' 라고 생각하시고

    무시하시면 됩니다.

    5번 줄은 세 번째 칸을 잡았으니,

    원래 '라'에서 3키가 올라갑니다.

    라 + 반음 + 반음 + 반음 = '도'

    4번 줄은 두 번째 칸을 잡아서

    원래 음인 '레'에서 2키가 올라갑니다.

    레 + 반음 + 반음 = '미'

    2번 줄은 첫 번째 칸을 잡아서

    원래 음인 '시'에서 1키가 올라갑니다.

    시 + 반음 = '도'

    6번과 3번과 1번 줄은 칸을 잡지 않았으니 그대로

    미 ,솔, 미 입니다. (654321 = '미'라레'솔'시'미')

    *이렇게 프랫을 잡지 않고 원래 세팅된 음을 칠 때

    '개방현'을 친다라고 합니다. (개방된 줄이라는 뜻)

    '미라레솔시미' 라는 원래 음이

    그림에 있는 모양으로 눌렀더니

    '미도미솔도미' 가 되었습니다.

    6개의 줄 들의 음이 '도, 미, 솔'로만 구성 되었죠?

    이것이 기타에서 코드가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악보의 코드를 보고, 그에 맞게 왼손으로 지판을

    운지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연주하는 것입니다.

    1. 그럼 D코드가 '레, 파#, 라' 인걸 알아야

    D 코드를 잡을 수 있는걸까요? 그건 아닙니다.

    그냥 그림 보고 외우시면 됩니다.

    2. 그럼 도미솔만 잡으면 다 C코드일까요?

    이건 맞는 말입니다. 그래서 C코드를 잡는 방법만 해도

    아주 많습니다.

    따라서 중급자 이상이 되면 어느 정도의 화성학 이론을

    공부해야 발전이 용이하지만 초급 단계에서는 필요 없습니다.

    적어도 반년 이상의 기간 동안 복잡한 것은 필요 없습니다.

    당분간은 올려드리는 그림을 보시면서

    단순 암기로 외우시면 됩니다.

    글로 코드를 접하면 항상 답답한 느낌이 드는데,

    하나씩 천천히 읽어보시면 무슨 말인지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